국가직무능력표준(NCS,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)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,기술,소양 등의 내용을 구각가 산업부문별,수준별로 체계화한 것으로, 산업현장의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(지식,기술,태도)을 국가적 차원에서 표준화한것을 의미합니다.
◎ 한 사람의 근로자가 해당 직업 내에서 소관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실제적인 수행능력을 의미합니다.
- 직무수행능력 평가를 위한 최종 결과의 내용 반영
- 최종 결과는 '무엇을 하여야 한다'보다는 '무엇을 할 수 있다'는 형식으로 제시
◎ 해당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모은 종류의 수행능력을 포괄하여 제시합니다.
- 작업능력: 특정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능력
- 작업관리 능력: 다양한 다른 작업을 계획하고 조직화하는 능력
- 돌발상황 대처능력: 일상적인 업무가 마비되거나 예상하지 못한 일이 발생했을 때 대처하는 능력
- 미래지향적 능력: 해당 산업관련 기술적 및 환경적 변화를 예측하여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
◎ 모듈(Module) 형태의 구성
- 한 직업 내에서 근로자가 수행하는 개별 역할인 직무능력을 능력단위(unit)화하여 개발
-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여러 개의 능력단위 집합으로 구성
◎ 산업계 단체가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개발
- 해당분야 산업별인적자원개발협의체(SC), 관련 단체 등이 참여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
- 산업현장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는 근로자 또는 전문가가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단계마다 참여
◎ 산업계 단체가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개발
- 해당분야 산업별인적자원개발협의체(SC), 관련 단체 등이 참여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
- 산업현장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는 근로자 또는 전문가가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단계마다 참여
-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산업현장의 직무수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'일,교육,훈련,자격'을 연결하는 고리, 즉 인적자원개발의 핵심 토대로 기능
- 국가직무능력표준은 교육훈련기관의 교육훈련과정, 직업능력개발 훈련기준 및 교재 개발등에 활용되어 산업수요 맞춤형 인력양성에 기여합니다.
또한, 근로자를 대상으로 경력개발경로 개발, 직무기술서, 채용/배치/승진 체크리스트, 자가진단도구로 활용가능합니다.
-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는 국가 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하여 교육훈련과정, 훈련기준, 자격종목 설계, 출제기준 등 제/개정시 활용합니다.
-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하여 전문대학 및 마이스터고/특성화고 교과과정을 개편합니다.
-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분류체계는 직무의 유형(Type)을 중심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단계적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,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의 전체적인 로드맵을 제시
- 한국고용직업분류(KECO: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)를 중심으로, 한국표준직업분류, 한국표준산업분류등을 참고하여 분류하였으며
'대분류(24)-> 중분류(77)-> 소분류(227)-> 세분류(857개)'의 순으로 구성
*분류체계 마련을 위해 직업분류, 산업분류 및 자격분류 전문가, 해당산업 분야 전문가 대상 의견수렴 방법을 통해 직종구조분석 시행
- 직무는 국가직무능력표준 분류체계의 세분류를 의미하고, 원칙상 세분류 단위에서 표준이 개발합니다.
- 능력단위는 국가직무능력표준 분류체계의 하위단위로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기본 구성요소에 해당합니다.
- 능력단위는 능력단위분류번호, 능력단위정의, 능력단위요소(수행준거, 지식/기술/태도), 적용범위 및 작업상황, 평가지침, 직업기초능력으로 구성됩니다.
구성항목 | 내용 |
---|---|
01. 능력단위분류번호 (competency unit code) |
능력단위를 구분하기 위하여 부여되는 일련번호로서 14자리로 표현 |
02. 능력단위명칭 (competency unit title) |
능력단위의 명칭을 기입한 것 |
03.능력단위정의 (competency unit description) |
능력단위의 목적, 업무수행 및 활용범위를 개략적으로 기술 |
04.능력단위요소 (competency unit element) |
능력단위를 구성하는 중요한 핵심 하위능력을 기술 |
05.수행준거 (performance criteria) |
능력단위요소별로 성취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개인이 도달해야 하는 수행의 기준을 제시 |
06.지식/기술/태도(KSA) | 능력단위요소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/기술/태도 |
07.적용범위 및 작업상황 (range of variable) |
능력단위를 수행하는데 있어 관련되는 범위와 물리적 혹은 환경적 조건 능력단위를 수행하는 데 있어 관련되는 자료, 서류, 장비, 도구, 재료 |
08. 평가지침 (guide of assessment) |
능력단위의 성취여부를 평가하는 방법과 평가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 |
09. 직업기초능력 (key competency) |
능력단위별로 업무 수행을 위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할 직업능력 |
- 국가직무능력표준의 수준체계는 산업현장 직무의 수준을 체계화한 것으로, ‘산업현장-교육훈련-자격’ 연계, 평생학 습능력 성취 단계 제시, 자격의 수준체계 구성에서 활용합니다.
-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시 8단계의 수준체계에 따라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 별 수준을 평정하여 제시합니다.
국가직무능력표준의 분류번호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구성단위인 능력단위에 대한 식별번호로 대분류, 중분류, 소분류, 세분류, 능력단위 및 개발연도로 구성 됩니다.
∙ 대분류: 대분류 체계의 2자리 숫자(2 digits)
∙ 중분류: 대분류의 체계 중 중분류 체계의 2자리 숫자(2 digit)
∙ 소분류: 중분류 체계 중 소분류 체계의 2자리 숫자(2 digit)
∙ 세분류: 소분류 체계 중 세분류 체계의 2자리 숫자(2 digits)
∙ 능력단위: 세분류 체계 중 능력단위 연번으로 2자리 숫자(2 digits)
∙ 개발연도: 능력단위 개발・보완 연도 2자리 숫자(2012년 → 12)로 작성하되, 앞의 분류와 구분하기 위하여 “_” 이후에 연도 기입
∙ 버전: 표준 개발 순서 2자리(첫번째 → v, 두 번째 → 숫자)/(2 digits)